과학은 꿈이다. 이야기다. 소통이다. 과학에 대한 지식인 23인의 명쾌한 성찰
『우리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을 향해 과학을 말하다』는 ‘우리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고전적이면서도 새로운 화두에 대해 APCTP가 운영하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실린 에세이를 모은 책이다. 상상력의 과학, 과학의 시대와 철학, 소통과 창의성, 과학, 문학, 예술의 만남 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자신들의 ‘과학 경험’을 좀 더 가볍고 경쾌하게 서술하고 있다. 인문학자에서 진성 과학 기술자까지 다양한 필진을 아우르고 있는 이 책을 통해 ‘과학으로 가는 길’이 하나만이 아니라 풍요로운 다양성의 길임을 발견하게 할 것이다.
1부에서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과학의 꿈을 꾸고 있는 도서평론가, 밤새 별을 관측하며 시를 쓰는 천문학자, 학생 운동에 투신했던 물리학자 등의 유쾌한 모험담을 선사한다. 2부에서는 일반인들에게 마치 암호처럼 낯설고 생소하게 느껴지던 과학이 선뜻 이야기를 건네는 과정을 재미있게 보여 준다. 3부에서는 ‘순수'하게 연구되던 일방적인 학문 또는 기술 발전의 수단으로서의 과학이 아닌, 사회 구성원 모두의 치열하고 진실한 고민을 요구하는 소통의 도구로서의 과학을 만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우리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 김승환
추천사 과학을 꿈꾸며 그 꿈을 나누다 국형태
과학은 꿈이다 1
과학자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_이권우
거문도좀흑달팽이, 노브에아를 찾아서 _권오길
길모퉁이 카페에서 _이명현
한 인문학자의 과학 편력 _여인석
한국 사회에서 과학을 한다는 것 _이종필
소리의 과학과 문화 _강신익
과학은 이야기다 2
과학 기술, 문학, 예술의 만남 _임경순
생체 분자 간의 대화 신호 전달 _서판길
신화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_장영란
상상력의 과학은 가능한가? _김시천
현대 의사의 상징, 가운과 청진기 _황상익
과학적 탐구의 원천은 무엇인가? _서동욱
수학을 아름답게 하는 것들 _강석진
마음으로 본다 _이재열
과학은 소통이다 3
개념간의 싸움도 말려야 한다 _장회익
포메이토와 줄기 세포 _김병수
아날로그 시대의 인터넷에 대한 추억 _김정호
정치과학자란 누구인가 _이인식
핫미디어의 소용돌이 속에서 빠져나오기 _황은주
과학의 시대에 철학이 왜 필요한가? _백승영
촛불 집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 _홍성태
과학의 버스에는 종교의 자리가 없는가? _이진남
소통 가능한 창의성에 대하여 _오선영 |